써리 킹조지대로 인근 신축 콘도 단지. 미분양 공실이 늘면서 개발사와 중개업체들이 판매 촉진에 나서고 있다. 사진=JASON PAYNE 써리 등 신축 콘도 공실 급증 개발사들, 분양보다 임대로 전환 광역 밴쿠버의 완공된 미분양 콘도와 타운홈 수가 3분기에도 계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데이터업체 존다 어반(Zonda Urban)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미분양 공실은 3,745세대로, 2분기(3,215세대), 1분기(2,304세대)에 이어 꾸준히 늘고 있다. 2019년...
연방정부의 7억6,300만 달러 대출로 건설될 버나비 임대주택 단지의 조감도. 사진=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 버나비에 1,300가구 임대주택 건설 서부 최고층 타워 포함, 임대시장 숨통 연방정부가 7억6,300만 달러 규모의 대출을 통해 버나비에 약 1,300가구의 임대주택을 건설한다. 개발업체 그로브너(Grosvenor)는 이번 자금이 연방정부의 ‘아파트 건설 대출 프로그램(Affordable Construction Loan...
로버트 호그 RBC 부수석 이코노미스트. 그는 “금리 인하로 주택 구매 여건은 나아지고 있으나, 밴쿠버는 여전히 평균 가구가 감당하기 어려운 시장” 이라고 말했다. 사진=GAVIN YOUNG 캐나다 전역에서 주택 구입 여건이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밴쿠버 지역은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비싼 시장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BC “금리인하·소득증가로 전국적 완화세” 금리인하 효과 점차 약화, 회복 속도 둔화 예상 RBC은행이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금리 인하,...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는 미분양 콘도 수가 작년의 두 배 수준(약 2,500가구)에 달하며, 연말까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사진=ARLEN REDEKOP 메트로 밴쿠버의 신규 콘도 시장에 ‘빈집’이 쌓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떠났고, 실수요자들도 높은 가격과 좁은 평형에 등을 돌렸다. 각종 인센티브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사태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미분양 콘도 3천 가구 넘어…작년의 두 배 투자자 이탈, 실수요자도 외면 리치몬드·버나비 등 고층 콘도...
캐나다 전체 평균 임대료는 2년 전보다도 1.2% 하락해, 2022년 1월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BC주와 알버타주가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BC주는 전년 대비 5.5% 감소한 평균 2,430달러, 알버타주는 같은 폭의 하락률로 1,734달러를 기록했다. 캐나다의 평균 임대료가 9월 기준 2,123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2개월 연속 하락세로, 전국적인 임대료 조정 국면이 이어지고 있음을...
데이비드 이비 주총리(왼쪽)와 ‘콘도킹’으로 불리는 밴쿠버 부동산 개발업자 밥 레니(Bob Rennie)가 3일 밴쿠버 하얏트 리젠시 호텔에서 열린 도시개발연구소(UDI, Urban Development Institute) 주최의 행사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ARLEN REDEKOP ‘콘도 킹(Condo King)’으로 불리는 밴쿠버 부동산 개발업자 밥 레니(Bob Rennie)가 BC주 개발 산업의 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부동산 총괄책임자(Real E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