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892(0418)
P. 43

APRIL 18 2025                                                     COLUMN                                         WWW.CANADAEXPRESS.COM 13




                                                               치아관리 십계명 7





                                                 평생 한 번 받는 교정치료, 최적의 시기에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아가 고르지 못한 경우, 일반적으                기 동안 남아 있는 성장을 교정치료에                  3. 소아/청소년기를 놓친 경우(성인교              는 것보다 1,2기에 조기 치료받는 것이
        로 평생 한 번 받는 교정치료는 최적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치가 빠               정)                                   결과가 좋듯이, 교정치료도 마찬가지
        시기에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고 영구치가 자라는 시기의 공간적                   교정치료의 최적기인 소아·청소년기를                입니다. 자녀나 본인의 교정치료를 고
         이번 글에서는 상황별로 최적의 교정                여유를 이용해 교정치료를 보다 효율                  놓친 경우라도 성인교정은 충분히 가                 민하고 있다면 가급적 빠르게 상담을
        치료 시기가 언제인지, 그 이유는 무엇               적이고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성장기                능합니다.                               받아 최적의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인지, 그리고 최적의 시기를 놓친 경우               특성상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치료 속                 · 20~30대 성인교정: 성장이 완료된 시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                도도 빠릅니다.                            기이므로 성장 활용은 어렵지만, 젊을

        하겠습니다.                               2. 골격성 부정교합이나 특별한 문제                수록 회복력이 좋고 잇몸 상태도 양호
                                            가 있는 경우                              해 빠른 치료가 유리합니다.
                                                                                                                             글  밴쿠버 서울치과 강주성 원장
         1. 치열만 고르지 못한 일반적인 경우               단순한 치열 문제를 넘어 턱뼈 성장에                · 40~60대 중장년층 교정: 교정치료
         특별한 골격 이상 없이 치열만 고르지               문제가 있는 골격성 부정교합, 턱뼈가                 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
        못한 경우, 일반적으로 12세 전후가 교              좁은 경우, 과개교합 등은 본격적인 교                지만, 잇몸이 튼튼하다면 최근 교정기
        정치료를 시작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                정 전에 1차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                술 발전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치아만
        입니다.                                습니다.                                 교정할 수 있어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Dr. 강주성

         · 여자아이나 영구치가 빨리 나는 경                · 반대교합(아랫니가 윗니를 덮는 경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과도한
                                                                                                                       General Dentist, Principal dentist
        우: 10~12세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             우), 교차교합, 가위교합 등과 같이 비               목표보다는 필요한 최소한의 교정치                    Bachelor of Dentistry, 2002.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습니다.                                정상적인 교합 문제나 **매복치(치아                 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보철과 전문의 (한국)
         · 남자아이나 영구치가 천천히 나는                가 뼈 속에 갇혀 있는 경우)**는 발견                                                     ·전 UBC Dentistry Part-time Faculty
                                                                                                                       ·전 강남이엘치과 원장 (-2015)
        경우: 12~13세 정도에 시작하는 것이 이            즉시 또는 본 교정 전에 별도의 치료를                 결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전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외래교수
        상적입니다.                              먼저 진행한 후 본 교정치료를 시작하                  모든 치료는 적절한 시기에 받는 것이                 ·치과 보철과 인턴/레지던트 수료
         이 시기가 최적의 시기인 이유는 성장               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중요합니다. 암 치료도 3,4기에 치료받                ·치의학 석/박사과정 수료


































































         본 지면에 게재된 기사, 사진, 그리고 광고 등에는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게시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he information on this page might contain typographical errors or inaccuracies, please verify through the publisher.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