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722(0418)
P. 11
| ECONOMY | APR. 18. 2025
기준금리 2.75%P 동결 “경기침체 촉발 가능”
Today’s Money 편집팀
캐나다중앙은행은 16일 기준금리를 2.75%P로 동결 상했다.
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7개월 연속 인하 이후 처 두번째 시나리오는 관세로 인해 전 세계적인 무역전
음으로 금리 인하를 멈춘 결정이다. 쟁이 장기화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캐나다는
캐나다중앙은행은 이번 동결의 배경으로 미국의 관 1년간 깊은 경기침체에 빠지고, 인플레이션은 2026년
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을 꼽으며, 통상적인 경제 전 중반 3.5%까지 치솟을 수 있다. 맥클렘 총재는 “이 시
망을 제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나리오 아래에서는 캐나다의 잠재 성장률이 영구적으
티프 맥클렘 총재는 “현재 상황에서는 예측보다는 로 감소하고, 국민 삶의 질도 저하될 수 있다”고 경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경제에 대한 정보가 더 고했다.
명확해질 때까지 조심스럽게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데이터가 명확한 방향을 제시할 경우, 단 단기 경제전망 2분기 성장 둔화, 인플레이션은 1.5%
호하게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덧붙였다. 로 하락
캐나다중앙은행은 1분기 GDP 성장률이 1.8%로 예
두가지 시나리오 제시 최악의 경우 ‘심각한 경기침체’ 상되며, 2분기에는 한층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
이번 분기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캐나다중앙은행은 플레이션은 탄소세 폐지와 원유가격 하락 영향으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 캐나다중앙은행은 16
일 기준금리를 2.75%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공식 경제 전망치를 생략하고, 4월 중 1.5%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시코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대 로 동결했다. 7개월 연
속 금리인하 이후 처
대신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토니 그라벨 부총재는 올해 중 양적긴축(QT)정책의 한 관세 폭탄을 단행하면서 다 음으로 인하를 멈춘
결정이다.
첫번째 시나리오는 미국의 관세가 협상을 통해 점 종료 가능성을 언급했다. 시 타격을 입었다.
차 철회되는 경우다. 이 경우, 2분기 GDP 성장은 정 이로 인해 기업투자와 소비지
체되나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인플레이션은 트럼프 관세 정책, 캐나다 경제에 직격탄 출이 둔화되고 있으며, 고용증가 정체 및 인플레이션
1.5%로 하락한 뒤 목표치인 2%로 돌아올 것으로 예 2024년 말 회복세를 보였던 캐나다 경제는 도널드 상승 등의 지표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