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CANADA EXPRESS NEWS
P. 43
JANUARY 17 2025 기고 WWW.CANADAEXPRESS.COM 13
영화 ‘포레스트 검프’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이제현 칼럼 - 3회
영화 포레스트 검프는 단순히 한 사람의 인 단할 때 그들의 외적인 조건이나 사회적 기준 The Film Forrest Gump and Society’s Perception of Disability
생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 아니라, 시대와 사 이 아닌, 내면의 진실성과 노력, 그리고 관계
The film Forrest Gump is more than a simple life story. It depicts the
회적 편견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길을 걸어 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profound journey of a man who walks his own path, is undeterred by the
가는 한 남자의 여정을 통해 관객들에게 깊 예를 들어, 그의 순수하고 헌신적인 태도는 era or the social prejudices surrounding him, and delivers a deep emotional
은 울림을 주는 영화이다. 제니와의 관계를 통해 더욱 돋보이며, 이는 impact to others.
주인공은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그의 진정한 인간적인 가치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 Forrest, the protagonist, has an intellectual disability. Yet, his life
삶은 우리가 장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 지고 있는 것이다. continually challenges and reshapes the stereotypes we hold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offering fresh perspectives along the way.
관념을 끊임없이 뒤흔들며 새로운 관점을 제 오늘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과거에 비해
In modern societ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often reduced to
시하고 있다. 많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장애인을 동등한 objects of pity or sympathy and are frequently undervalued for their
현대 사회에서 장애인은 종종 동정이나 연 사회적 구성원으로 대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abilities. Looking back at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to 1970s, the
민의 대상으로만 여겨지거나, 그들의 능력 많은것이 현실이다. 특히 장애인을 무능력하 backdrop of Forrest Gump, disability was often equated with being a social
underdog—someone incapable of leading a "normal" life.
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 게 하거나 도움을 받아야 하
One poignant scene early in the film captures this reality: Forrest,
는 경우가 많다. 특히 는 대상으로만 보는 태도 wearing leg braces as a child, is mocked by his peers and socially excluded.
포 레스 트 가 자 라 던 는 여전한 과제로 남아 This moment reflects the discriminatory attitudes of the time. However,
1950~1970년대 미국을 있다. the film refuses to stay confined within such prejudice. Instead, it portrays
배경으로 보면, 장애는 포레스트 검프는 Forrest as someone who communicates with the world in his unique ways
and leads a remarkable life that defies narrow societal expectations.
사회적 약자로 분류되 단순히 장애가 있
Forrest’s accomplishments are extraordinary by any measure: becoming
며 정상적인 삶을 누 는 개인의 이야기 a star football player due to his athleticism, serving heroically in the army,
리기 어려운 존재로 여 를 넘어, 사회가 and building a successful shrimping business. These achievements, which
겨져 온 것이 현실이었 얼마나 다양성을 받 many would consider out of reach even for "ordinary" people, underscore
다. 아들이고 포용할 준비 how limiting societal views of disability can be.
On a deeper level, Forrest does not view himself as special or consider
영화 초반부에서 포레스트가 가 되어 있는지를 생각하게 한
his disability a limitation. He simply commits to doing his best in every
다리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을 때, 또래 아이 다. 주인공이 보여준 삶의 방식은 장애가 결 situation, steadfastly pursuing his goals. This outlook not only inspires
들에게 놀림을 당하거나 사회적으로 배제되 코 한계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며, 우리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also challenges all of us to confront our
는 모습은 당시의 차별적인 시선을 잘 보여 에게 장애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과 더불 preconceptions and fears about the world.
The film further emphasizes that a person’s worth should not be judged
주는 부분이다. 어, 그들에 대한 지원과 기회의 평등이 얼마나
by external conditions or societal norms, but by their authenticity, effort,
하지만 영화는 이러한 편견에 갇히지 않고 중요한지를 일깨워 주고 있다. and relationships. Forrest’s pure and selfless nature shines most brightly
자신의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성공적인 이러한 메시지는 사회적 약자를 대하는 태 in his relationship with Jenny. Their bond raises questions about what
삶을 살아가는 포레스트의 모습을 통해, 장 도에 대한 깊은 반성을 불러일으키며, 나아 constitutes genuine human values, encouraging viewers to reevaluate their
애를 바라보는 시각이 얼마나 편협할 수 있 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필요한 책 own definitions of success and worth.
While societal perceptions of disability have improved over time,
는지를 보여준다. 임감을 강조한다.
barriers remain. Many still se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rimarily as
그는 뛰어난 운동 신경으로 미식축구 선수 이 영화가 내게 준 감동은, 단순한 감동을 dependent or incapable, which highlights the persistent challenges we
가 되고, 군대에서 영웅적인 활약을 펼치며, 넘어, 장애와 인간의 가능성, 그리고 사회적 must address. Forrest Gump goes beyond telling the story of an individual
새우잡이 사업으로 성공을 거두는 등 평범한 편견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장애를 가진 사 with a disability; it prompts reflection on how ready society is to embrace
사람들도 이루기 어려운 성취를 이뤄낸다. 람들이 그 자체로도 충분히 독립적이고 가치 diversity and inclusivity.
Forrest’s life serves as proof that disability is never an absolute limitation.
영화를 더 깊게 생각 해 보면 포레스트 검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It reminds us of the value that lies in providing equitable opportunities
프는 스스로를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으 우리에게 더 넓은 시각과 이해를 요구하며 and support to empowe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his story,
며, 장애를 자신의 한계로 여기지도 않는 것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로 끝나지 않고, 오늘 the film delivers a message that is both timeless and urgent: the need for
을 알 수 있다. 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더 나은 사회를 만 compassion, understanding, and a commitment to fostering a society that
values all its members.
그는 단순히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 드는 데 필요한 지침이
The profound impact Forrest Gumphad on me stems from its ability
고 목표를 향해 묵묵히 나아가고 있으며 이 되는 것이다. to transcend a mere emotional response. It provoked deeper questions
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우리 모 about disability, human potential, and societal biases, ultimately affirming
두가 세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선입견과 두 tha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inherently independent, capable,
려움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듯 하다. 글 이제현(LEE, and valuable. By urging us to broaden our perspectives and deepen our
JEHYEON/ Brookwood understanding, the film remains not just a tale of the past but a guidepost
또한 영화는 포레스트를 통해 사람을 판
Secondary Gr 12) for building a better and more inclusive world today.
본 지면에 게재된 기사, 사진, 그리고 광고 등에는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게시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he information on this page might contain typographical errors or inaccuracies, please verify through the publi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