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587(0725)
P. 12
JULY. 25. 2025 | BOOK |
이정순 동화작가 추천도서 15 《사자상》
우리 전통문화나 전통 의례를 알고 즐기고 계승하길 바라는 마음
글 이정순
아직은 우리나라에서 전통 의례를 계 는 말씀을 할아버지한테 하신 것 같 아버지에 대한 흉흉한 소문이 돌았다.
승하는 분들이 있어 아이들이 간혹 접 다. 그것은 할머니산소 수목원에 가서 친구 동민이는 할아버지를 저승사자
할 기회가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할아버지가 한 말을 듣고 주훈이는 알 조수라며 주훈이를 놀린다. 주훈이는
하지만, 나라를 떠나 외국에 사는 우리 게 되었다. 할아버지가 간장을 병에 담 할아버지가 외출하면 미행하기로 작심
어린이들은 우리 전통문화를 접할 기 아 가서 제를 지내고 나서였다. 한다. 하지만, 할아버지는 교각 밑 운
회가 거의 없다. 물론 한인회나 다문화 동 기구에서 운동을 하거나, 바둑을 두
예술인협회 같은 단체가 있어 그곳에서 “할멈, 올해 담근 간장이야. 어때? 당신이 알 거나 그곳에 있는 할아버지들한테 인
전통 놀이나 전통 예술을 접할 기회가 려준 대로 잘했지?” 사를 먼저 하며 함께 어울린다.
없지 않지만, 흥미 있어 하는 어린이는 주훈이는 별 눈치를 채지 못했다. 어
그리 많지 않다. 할아버지는 할머니 이름이 적힌 팻말 느 날 전화를 받은 할아버지가 또 간
김하영 작가의 《사자상》은 우리 옛 을 정성스럽게 쓰다듬었다. 장병을 챙겨 깔끔한 옷을 입고 나가
전통 의례를 우리 아이들에게 쉽게 전 “여보, 당신이 나에게 당부했던 일을 자, 주훈이는 미행한다. 어느 대문을 들
달 하는 이야기다. 이제 더 이상 못 하게 됐어. 도시 사람 어서자마자, 젊은 남자의 고함과 함께
3년 전,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할아 들에게는 그런 게 필요 없는 것 같아. 할아버지가 쫓겨난다.
버지가 주훈이와 함께 살면서 겪는 이 믿는 사람도 없고.”라고 말한다. 간장이 든 비닐봉지는 대문 밖 바닥
책제목:《사자상》 야기다. 할아버지는 동네에 초상이 날 때마다 에 내동댕이쳐져 검은 액체가 흘러나왔
지은이: 김하영
할머니가 돌아가실 때 유언처럼 전 옥상에서 직접 담근 간장 한 병을 챙겨 다. 그 장면을 본 주훈이는 할아버지가
그린이: 신소담
펴낸곳: 가문비 통 간장을 담아 사자상을 이어 가라 옷을 깔끔하게 입고 집을 나섰다. 할 밉다. 동민이의 할아버지가 돌아가셨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