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CANADA EXPRESS NEWS
P. 23

WWW.CANADAEXPRESS.COM | OCTOBER 3 2025                                                                        MONEY & COLUMN           23




                         박인근

                         (Brian Park, MBA)
                         BC 생명 투자 컨설턴트
                         [email protected]                                                                                 2025년 10월 경기 전망




                               “골프가 아닌 비자를 말했어야 했다”








         지난 9월 초 미국 국토안보수사국이 이민세관단속                     ‘어떤 문제를 가지고 무슨 얘기가 오갔는지?’ 도무지                   한결 부담이 완화된 상태에서 조건을 변경할 수 있게
        국(ICE), 마약단속국(DEA), 연방수사국(FBI)까지 동              알 수가 없었다.                                       되었다.
        원하여 조지아주의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정부도 현지공장 인력의 비자 문제를 알고 있었을                      10월 하순에 개최될 한국, 미국, 캐나다의 중앙은행
        공장에서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여 475명을                    텐데 이 절호의 기회(한국이 무려 700조원 가까이 투                  기준금리 결정회의에서는 세나라 모두 소폭 인하할
        체포하여 구금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300명 이상이                   자를 한다.)에 ‘골프 얘기’가 아니라 ‘공장 건설 필수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인으로 파악됐다.                                     인력의 빠른 비자 발급을 위해 힘써 주십시오.’하고
         미국보다 한국에서 난리가 났다. 700조원 갖다 바                   요청했어야 했던 것 아닐까?                                    ★환율
        치고 돌려받은 것이 ‘자국민 체포냐?’ 하는 분노부터                                                                    3개월 가까이 끌어온 미국과 관세협상이 성과 없이
        일부 언론들의 ‘반미 선동’에 가까운 보도가 있는가                      ▲항목별 10월 전망                                   논의만 계속되는 가운데 한국기업은 수출에 대해 고

        하면 ‘저의가 뭐냐?’하는 사전 음모론까지 있었다.                                                                    율의 관세를 부담하고 미국 대통령은 애초에 약속한
         ‘과거처럼 정권을 위한 외교가 아니라 국익을 위한                      ★주식                                           것을 이행하라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외교를 한다.’ 라는 해괴한 말을 하는 외교부 장관의                    미연방준비제도의 금리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국의 대통령실과 관련 장관 등은 여러가지 발표
        언행을 보면 한심 자체다. 일부 언론의 반응에도 의문                   0.25%p 인하하자 주식시장은 환영의 뜻으로 주요                    를 하지만 애초에 그 발표가 미국의 발표와 달랐고
        부호(?)가 생긴다. ‘미국 대통령은 할 일을 한 것이라                 지수(다우 30, S&P500, 나스닥)가 사상 최고치를 기               최근에는 변명 같은 해명에 불과한 것으로 한국의 경
        는 이해하기 힘든 반응을 보였다.’ 또는 ‘제 발등 찍는                 록했다. 한국과 캐나다 주식시장도 동반 상승하여                      제계는 받아들이고 있다. 더한 것은 일부 정치인들이
        트럼프의 이민정책’ 등의 반응도 있었다.                          두 나라 대표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                    ‘감성 팔이’식의 애국심에 호소하는 듯한 발언을 하면

         정치권은 더했다. ‘대통령이 미국가서 700조원을 퍼                  국종합주가지수는 3,400p를 훌쩍 넘어 철벽 같던                    서 미국측을 자극하는 면이 없지 않다.
        붓겠다고 약속하면서 받아낸 게 무엇인가?’ 라고 비                    3,500p를 넘보고 있고, 캐나다 토론토 시장지수는 9                   경제(돈)에 관한 협상은 냉정해야 한다. 그리고 내용
        난하는가 하면 ‘투자 약속을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                   월 마지막 날 사상처음으로 꿈의 지수인 30,000p(종                 도 다른 해석이 필요 없이 명료해야 한다. ‘관세협상
        도 있었다. 사건 발발한 지 4일 정도 지나고 나서야                   가기준 30,022.81p)를 넘었다.                           미타결’ 여파로 9월 하순 대미 환율이 다시 달러 당
        원인을 얘기하는 언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0월 각 국의 주식시장도 9월의 상승세를 이어갈 것                  1,400원을 훌쩍 넘었다. 관세 협상부진에 외환시장이
         가장 큰 원인은 체포된 이들의 대부분이 ‘미국의 이                   으로 예상되나 그 속도는 9월보다는 조금 더딜 것으                    먼지 반응한 셈이다.
        민법을 어겼다’는 것이다. 체포하는 과정에서 당사자                    로 전망한다.                                          10월 환율은 원화의 약세가 예상된다. 금리 요인은
        들이 굴욕적인 대우를 받으며 끌려가는 모습을 언론                      금리 인하는(연내 2차례 추가인하 기대. 미국)는 9월                 미국, 캐나다, 한국 모두 인하가 예상되어 큰 변수가
        에 공개한 것은 지나치다 할 수 있지만 체포된 사람                    시장에 상당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이고 10월에는 관                    되지 않고, 10월 환율은 관세 협의 진행 여부가 가장

        들이 원인제공을 한 셈이다.                                 세 협상에서 야기되는 각종 부작용의 반영과 일부에                     크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달러 강세, 캐나다
         몇 년 전에도 유사한 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취업할                   서 제기하는 ‘AI 버블론’의 확산이 악재로 반영될 것                  보합, 한국 원화 약세로 전망한다.
        수 없는 성격의 비자를 받아 편법(한국 생각, 미국은                   이다. 캐나다와 한국은 대 미국 관세 협상의 피해국인
        법위반으로 간주)으로 공장건설 현장에서 일을 했다                     점이 부각되어 상승폭은 제한적으로 보이고 현재와                         ★부동산
        는 것은 미국내에서 미국 법을 어긴 것이다. 해당 기업                  같이 미국과 협상이 큰 진전이 없으면 주식시장은 약                      토론토 지역의 콘도 시장이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나 체포된 사람들도 할 말은 많을 것이다.                        보합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있다. 다른 지역도 비슷하지만 토론토 지역의 부진이
         기간내에 공장을 완공. 가동해야 미국인이 취업도                                                                     심하다. 인구 유입(유학생, 단기취업 외국인)이 급격히

        하고 미국내에서 생산을 하게 되는데 그 종사자들이                       ★금리                                           줄어 수요 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라 본다. 거주하려
        필요한 취업비자 등 정상적인 비자를 받으려면 시간                      지난 달 3째주에 개최된 미국과 캐나다중앙은행은                     는 주민들보다 투자용으로 매수하려는 분들이 더 많
        이 너무 많이 걸리고 아주 까다롭다고 하니 임시 방                    서로 약속이라도 한 듯이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각                     았다는 것이 사실로 보인다. 건설회사와 매수 계약자
        편으로 ESTA 등의 단기비자를 받아 해당공장에서                     0.25%P씩 인하하여 미국은 연 4.0~4.25%, 캐나다는              간의 분쟁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을 해 왔다고 한다.                                    연 2.5%로 결정했다. 10월과 12월 금리결정회의에서                   한국도 이유는 다르나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필자는 한국정부의 대응이 너무 안이했다고 본다.                     도 미국과 캐나다가 기준금리 동반인하할 가능성이                      은 찬바람이 부는 형국이다. 새 정부 들어서서 두번의
        미국 방문 자체가 급했던지 아니면 구두로 라도 관                     높아졌다. 캐나다는 경기 부양을 위하여, 미국은 경기                   큰 규제를 시행했지만 서울에는 효과가 없고 지방은
        세를 좀 낮췄다는 ‘칭찬?’을 듣고 싶어서인지 한국 대                  정상화를 확인하면서 기준금리 인하를 시도하는 것                      침체 가중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령은 미국 대통령과 첫 인사 모두 발언에서 자기                     이다. 당분간은 미국과 캐나다의 기준금리 인하가 대                      4/4분기의 부동산 시장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함

        할말만 줄 창 외우고 마지막에 ‘이 다음에 골프 한번                   출 상환액이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다. 상                    께 약세가 진정될 것으로 예상한다. ‘보합’ 으로 전망
        칩시다.’라는 아부(미국 언론의 표현이다.)를 하면서                   환 부담이 완화되고 특히 모기지 대출을 갱신해야 할                    한다. 경기가 약세 상태이므로 상승반전은 2026년에
        마쳤고 이어진 비공개 회의는 아무런 발표가 없으니                     채무자(고정금리 계약자는 보통 5년마다 갱신함.)는                    나 기대해볼 만하다.









         본 지면에 게재된 기사, 사진, 그리고 광고 등에는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게시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he information on this page might contain typographical errors or inaccuracies, please verify through the publisher.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