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586(0718)
P. 20
JULY. 18. 2025 | LOCAL NEWS |
Community
밴쿠버 도로, 장소에 인도패시픽 재단
머스키암 원주민 언어 등장 한인사회와 소통
글 편집팀
밴쿠버시 여러 도로와 장소 등에 원주 다. 구에린은 “원주민 단어 사용이 당장
민 언어가 속속 등장돼 사용되고 있다. 에는 보 잘 것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
그러나 대부분의 주민들은 이들을 발음 지만 이 건을 계기로 식민지 정부와 원주
하기가 쉽지 않다. 글자의 모양이 매우 민들 간에 화해의 첫 장이 열리고 있다”
낯설기 때문이다. 고 말한다. “1만년 이전부터 이곳에 살아
원주민 언어는 대부분 당시 식민지 정부 온 원주민들에게는 이 같은 작은 움직임
의 정책에 따라 공식 사용이 금지돼 현재 을 시작으로 자긍심이 느껴지고 있다”고
는 일반에 잊혀 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는 덧붙인다. 한편 원주민 자녀들을
머스키암 원주민 단체의 빅터 구에린 위한 원주민 언어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
언어학자는 어려서 자라면서부터 머스 어지면서부터 원주민 청소년들의 정신건
키암 언어 및 문화 등이 차별화 돼 왔다 강 상태가 개선되고 있다고 UBC대학의
고 말한다. 원주민 학교에서 교육을 받 한 연구 보고서는 전한다. 원주민 언어
고 자란 구에린은 원주민 언어 교육 및 를 통한 학습과 교육을 통해 원주민 학
문화 살리기 운동에 매진 중이다. 그 일 생들은 식민지 교육 사관으로 인해 발 글 이지은 기자
례로, 지난 달 20일 밴쿠버시 Trutch 생된 정신적 충격에서부터 서서히 벗어나 인도패시픽 재단(회장 바스칼)은 BC 올 초 이재단에 이사가 된 장민우 이
St. 거리 이름이 머스키암 원주민 언어 고 있는 것으로 이 보고서를 통해 나타 주 비영리단체로 인도패시픽 연계지역 사는 “문화교류 외에 다양한 분야에
Šx-ʷməθkʷəyəmasəm(sh-xw-MUTH- 나고 있다. 의 커뮤니티간 상호협력, 경제교류, 다 서 활동하는 이 재단과 한인사회와
qwee-um-awe-sum)로 변경돼 거리 안 원주민 청소년들의 자살율이나 우울증 문화 문화교류,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 소통을 통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내 푯말에 등장됐다. 증세도 원주민 언어 교육 및 사용을 통 한 지원을 위하여 만들어진 비영리 단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바스칼
밴쿠버시 공식 푯말에 원주민 언어가 해 개선되고 있으며, 원주민 청소년들은 체다. 이 재단은 7월 14일 이사회 모임 회장은 “인도 패시픽 권역에서 한국이
사용되는 것은 이번이 첫번째가 된다. 자부심을 가지면서 정신적 및 정서적 안 을 통해 인적자원을 통하여 지역사회 차지하고 있는 역할이 점점 커지고
향후에도 플라자, 건물 및 공원 명칭 등 정감을 얻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한 에 공헌할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 가운데 한인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에 원주민 단어가 속속 등장될 예정이 다. 했다. 했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