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CANADA EXPRESS NEWS
P. 17

WWW.CANADAEXPRESS.COM | AUGUST 15 2025                                                                              REAL ESTATE        17



        주요 도시 임대료 하락세… “공급 · 인구 증가 둔화 영향”







        밴쿠버 월 270달러로 하락폭 가장 커

        이민 감축 정책, 임대 시장 큰 영향








         캐나다 임차인들이 한숨 돌리고 있다.               서에 따르면, 연방정부의 이민 수용 규
        RBC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주요               모 축소가 온타리오주와 BC주의 임대
        도시 대부분에서 임대료 하락세가 이어                시장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
        지고 있다.                              로 나타났다.
         RBC 은행 경제학자 레이철 바탈리아                보고서는 “이민 감소가 주택 수요를
        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40             완화하는 한편, 임대 공급은 계속 늘어
        개 주요 도시 중 절반 이상에서 전년 동              나면서 다른 지역에 비해 시장이 한층
        기 대비 임대료가 하락했다.                     부드러운 상태” 라고 설명했다.
         2베드룸 기준 임대료 하락폭이 가장                 학생 밀집 지역에서는 임대료 하락폭                연방정부의 이민 수용 규모 축소가 온타리오주와 BC주의 임대 시장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큰 도시는 밴쿠버로 월 270달러가 떨               이 컸다. 예를 들어 온타리오주의 키치               약화 조짐이 뚜렷 해지고 있으며, 이것이              대료는 팬데믹 이전 수준에 비해 여전히
        어졌다. 이어 켈로나(-230달러), 캘거리            너-케임브리지-워터루 지역은 월 130달              임대료 하락 압력을 지속시키는 요인일                높은 상태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캐나
        (-170달러), 토론토(-160달러), 그리고 핼        러, 구엘프는 50달러가 하락했는데, 이              수 있다.”는 것이다.                        다 전역에서 임대료가 점진적으로 완화
        리팩스(-150달러) 순이었다.                   는 연방정부 규제로 인한 유학생 감소                 온타리오 제조업 중심지에서도 임대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주거비 부담, 인구 증가세               와 시기가 겹친다.                          가 떨어졌다. 해밀턴은 40달러, 피터버러              “노동시장 약세가 임금 상승을 억제
        둔화, 임대 주택 공급 확대가 최근 몇                시장 냉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               는 30달러, 오샤와는 20달러가 각각 하             할 가능성이 높고, 더 엄격한 이민 목표
        분기 동안 임대 시장 균형 회복에 기여               령의 대 캐나다 무역 전쟁 이전부터 시               락했다. 디트로이트와 미 국경을 맞대                가 인구 증가를 늦추며 새로운 가구 형
        했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와 BC주는              작됐지만, 보고서는 무역 전쟁 압박이                고 있는 윈저는 임대료 변동이 거의 없               성을 제한할 것” 이라고 보고서는 덧붙
        연방정부의 이민 감축 정책에 특히 큰                하락세를 심화 시키고 있다고 지적했                 었다.                                 였다.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분석됐다.  보고               다. “무역에 민감한 산업에서 노동시장                다만, 최근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임                                    EXPRESS 편집팀

































































         본 지면에 게재된 기사, 사진, 그리고 광고 등에는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게시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The information on this page might contain typographical errors or inaccuracies, please verify through the publisher.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