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728(0801)
P. 16

AUGUST. 01. 2025                                         |  ECONOMY   |







                기준금리 2.75%로 세 번째 동결




                물가 불확실성 여전





                티프 맥클램 총재 “관세 타격 예상보다 낮아, 필요시 인하 검토”






                Today’s Money 편집팀
                 예상대로 캐나다중앙은행은 30일 기준금리를                     에 대한 불확실성.”이라고 설명했다.                          는 현재까지는 낮게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2.75%에서 동결했다. 이 날 발표에서 캐나다중앙                   또 하나의 금리 동결 배경으로는 지속적인 물가                    그러나 관세로 큰 타격을 입고 있는 특정 산업들
                은행은 미국으로부터의 관세 위협에 직면한 캐나                    안정 정책을 지목했다. 캐나다중앙은행은 연율 물                    은 여전히 도전에 직면했다고 그는 말했다. 또 “국
                다가 탄력 신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가 인상률을 목표치인 1~3%로 유지하기 위해 노                   내 경제가 아직 탄력적이지만 앞으로 필요하다면
                미국 무역정책은 여전히 예상하기 힘들다고 덧붙                    력하고 있다. “아직까지 관세가 물가 인상률에 미                   금리 인하 가능성의 문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언
                였다.                                          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하지만 가계의 물가인상                    급했다.
                 이번 금리 동결은 4월과 6월 동결에 연 이은 것으                기대는 여전히 높고 기업의 기대치는 다소 누그러
                로 3회 모든 동결 결정에서 캐나다중앙은행은 “국                  들었다.”고 전했다.                                      “무관세 회귀 희박”
                제무역 불확실성”을 그 배경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일부 기업들에게 국제무역 관세와 함께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 EU등과 관세
                 캐나다중앙은행은 2024년 6월부터 2025년 3월까               운영비에 새 항목이 추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정을 마무리했지만 모든 협정에는 일정 관세가
                지 7회 연속 금리를 인하했으며 이후 동결해 왔다.                                                               부과되며 과거와 같은 무관세 협정은 아직 없다.
                 중앙은행은 국내경제의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                       “금리 필요하다면 인하”                               맥클램 총재는 이를 바탕으로 할 때 “미국이 개
                며 국제무역전쟁은 계속 바뀌고 있다고 언급했다.                     티프 맥클램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몇                   방무역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 이라고 언급했다.
                “국제무역 관련 불확실성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                   주간 미국과 다른 경제 강국간에 체결된 협상들이                    그는 관세가 기업 활동, 캐나다 수출에 미치는 영
                다. 첫째, 미국 무역정책 자체의 불확실성, 둘째 관                심각하고 추가적인 국제무역 전쟁의 위험을 다소                     향도를 주시하고 있으며 수입 관세 상승으로 인
                세에 가계, 기업, 정부가 반응하고 적응할 것인가                  축소시켰다” 며 “그 타격이 처음 우려했던 것 보다                  한 비용 상승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는지를

































































        1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