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어린이 팬데믹 영향 거의 받지 않아
아이들 감염 신체 증상은 복통, 구토 그리고 설사 등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기간이 지속되면서 최근 일일 감염 환자 발생율이 다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초등학교 연령층의 어린이들은 현재의 팬데믹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밴쿠버 보건국 미나 다와르 박사는 “학교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녀는 “아이들은 학교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고 있다며 만일 학교에서 아이들의 바이러스 감염율이 진행된다고 하면 현재 많은 수의 어린이들이 바이러스에 전염돼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어린이들을 매개로 한 바이러스 감염은 지극히 적다고 그녀는 설명했다.
현재 BC주 내의 1천9백42개의 학교들 중 9월 신학기 이 후 바이러스 감염 우려로 잠정적으로 문을 닫은 곳은 5곳이다. 10월 켈로나의 불어권 학교 한 곳이 바이러스 감염 우려로 잠정 폐교됐으며, 칠리왁의 한 기독교 학교가 몇 몇 교사들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학교 문을 닫았다. 그러나 이 후, 칠리왁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추가 폐교 학교는 없다. 지난 주말, 써리 캠브리지 초등학교가 7건의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으로 2주동안 학교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 또 델타의 자르비스 초등학교는 6명의 교사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학교 수업 규모를 자발적으로 줄인 상태다. 뉴웨스트민스터 앨–하이다야 학교는 교내 여덟 명의 바이러스 감염자 발생으로 2주간 학교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보건국은 최근 한 달간 젊은층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율이 증가되자, 이를 주시하고 있다. 9월 신학기 이 후, 어린 학생들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진단 테스트율이 늘어났다. 일주일에 약 2천5백여명의 15세 미만 학생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진단 검사가 진행 이라고 BC질병센터측은 전했다.
10세 미만의 어린이들에서는 10명 중 한 명, 십대 청소년층에서는 10명 중 1-2명이 평균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양성 판정을 받고 있다. 현재 BC주 의료기관 내에 19세 미만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과 관련해서 집중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는 한 건도 없으며, 사망자도 없다. 올 해 1월부터 현재까지 19세 미만 연령층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병원 입원 주민 수는 20명에 불과하며, 성인들은 1천1백19명으로 이보다 훨씬 높다.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병원 입원 및 사망자 수는 50세 이상의 주민이다.
BC아동병원 소아 심전도과의 케빈 해리스 박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관련 입원 환자들 중 2%만이 어린이들이라고 했다. 그는 “아이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하더라도 미미한 증상을 보이며, 곧 그 증세는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팬데믹의 초기였던 올해 초, 영국이나 이탈리아 등의 팬데믹 온상 지역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심장이나 신장 등의 인체 장기 합병증이 우려되기도 했으나, BC주 어린이 감염자들 중에서는 단 2건만이 보고됐을 뿐이라고 전했다.
아이들의 바이러스 감염 신체 증상은 보통 복통, 구토 그리고 설사 등이다. 감염된 어린이들 중 반 수 정도에서는 심장 이상 증세를 보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퇴원 전에 심장이나 다른 후유증이 모두 회복된다. 학교에서 감염이 된 어린이들이 집에 돌아와 성인 가족에게 바이러스 감염을 옮길 수 있는 것이 문제다. 그러나 이 같은 학교 상황으로 인한 2차 감염 전파는 매우 드물다. 지난달, 웨스트 밴쿠버 콜휠드 초등학교에서의 몇몇 아동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해당 아동들의 부모와 조부모 2차 감염 사태가 발생된 바 있다. 학교 상황에서의 바이러스 감염이 확산될 것을 지나치게 우려해 모든 학교들의 문을 닫고 모든 학생들이 홈 스쿨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는 없다고 일부 학부모들은 말하고 있다.
한편, BC주 한 연구소는 이번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약 1천2백여 명의 임산부와 임신 당시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여성들 및 신생아들을 상대로 이들의 건강 상태 등을 계속해서 체크하고 있다. UBC 산부인과 데보라 모니 교수는 “임신 중의 여성이 태아에게 바이러스를 전이시킬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드물다”고 했다. 향후 더 태어나게 될 해당 태아들에 대한 관련 조사가 심도있게 진행되면 보다 정확한 관련 연구 결과들이 드러나게 될 전망이다.
“내 손으로 키우고 먹어요”…집 텃밭 만들기 관심 증폭 new
다시 봄이 찾아왔다. 마당이 있는 주택 소유주들은 이번 봄을 색다른 마음가짐으로 맞고 있다. 식료품비 상승에 채소, 닭 등 키워 주민들 자급자족 환경 농업에 관심 ‘푸드스케이프’ 각종 시설...
뉴 웨스트민스터, 스포츠 경기장내 미국 국기 게양 반대 new
“캐나다가 우선이라는 주의 표명” 주장 패트릭 존스톤 시장 일단 거부 입장 표명 온주 미시사가시 등 여러 도시 성조기 내려 뉴 웨스트민스터시 데니얼 폰테인과 폴 만하스 시위원들은 23일 뉴...
밴쿠버-워싱톤 국경 마을 ‘평화 집회’ 가져 new
BC주 써리와 미국 워싱톤주 블레인 국경의 피스 아치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미국에는 "같은 어머니의 자녀들"이, 캐나다에는 "형제들이 단결해 함께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