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젊은층들의 실업률이 증가된 것이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메트로 밴쿠버지역의 지난 해 주택 임대 공실율이 공급량 증가 및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량 저하로 그 전년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 가 밝혔다. 지난해 주택 임대 공실율은 2.6%로, 2019년도의 1.1%에 비해 증가됐다.
지난해 임대 공실율은 2.6%
2019년도 1.1%에 비해 증가
젊은층 실업률 증가, 국경 폐쇄로
외국인 입국 줄어…
외국 유학생 수 급감도 원인
밴쿠버와 써리에서 그 전 해의 수요 상승으로 인해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게 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랭리나 화이트락 등 도심 외곽 지역의 주택 임대 공실율은 오히려 줄었다.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젊은층들의 실업률이 증가된 것이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팬데믹으로 국경이 폐쇄되면서 외국인들의 입국이 줄어들고, 외국 유학생들 수 또한 급감되고 있는 것이 그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CMHC의 한 보고 자료에 의하면, UBC에서 외국인 학생 전용으로 건설한 임대 아파트들의 공실율이 지난 해 13%로, 2019년도의 0.4%에 비해 크게 증가됐다. 또한 정부가 빈 집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해당 주택들을 장기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게 한 것도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관광객들의 수가 크게 줄어들자, 관광객들을 위한 단기 임대 주택들이 장기 임대 주택으로 변환되면서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다.
그러나 CMHC는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 임대 렌트 공실율이 높아지면 수요자들의 입주율이 증가될 것으로 보통 예상되지만, 저소득층 주민들은 여전히 가격대가 높은 임대 주택으로 들어가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방, 버나비 ‘브렌트우드 블록’ 개발에 7억6천만 달러 대출
버나비에 1,300가구 임대주택 건설 서부 최고층 타워 포함, 임대시장 숨통 연방정부가 7억6,300만 달러 규모의 대출을 통해 버나비에 약 1,300가구의 임대주택을 건설한다. 개발업체...
주택 구입 여건 개선…밴쿠버는 여전히 ‘가장 비싼 도시’
캐나다 전역에서 주택 구입 여건이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밴쿠버 지역은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비싼 시장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BC “금리인하·소득증가로 전국적 완화세” 금리인하 효과...
메트로 밴쿠버 ‘빈 콘도’ 급증…“팔리지도, 살 사람도 없다”
메트로 밴쿠버의 신규 콘도 시장에 ‘빈집’이 쌓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떠났고, 실수요자들도 높은 가격과 좁은 평형에 등을 돌렸다. 각종 인센티브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사태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