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젊은층들의 실업률이 증가된 것이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메트로 밴쿠버지역의 지난 해 주택 임대 공실율이 공급량 증가 및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량 저하로 그 전년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 가 밝혔다. 지난해 주택 임대 공실율은 2.6%로, 2019년도의 1.1%에 비해 증가됐다.
지난해 임대 공실율은 2.6%
2019년도 1.1%에 비해 증가
젊은층 실업률 증가, 국경 폐쇄로
외국인 입국 줄어…
외국 유학생 수 급감도 원인
밴쿠버와 써리에서 그 전 해의 수요 상승으로 인해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게 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랭리나 화이트락 등 도심 외곽 지역의 주택 임대 공실율은 오히려 줄었다.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젊은층들의 실업률이 증가된 것이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팬데믹으로 국경이 폐쇄되면서 외국인들의 입국이 줄어들고, 외국 유학생들 수 또한 급감되고 있는 것이 그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CMHC의 한 보고 자료에 의하면, UBC에서 외국인 학생 전용으로 건설한 임대 아파트들의 공실율이 지난 해 13%로, 2019년도의 0.4%에 비해 크게 증가됐다. 또한 정부가 빈 집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해당 주택들을 장기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게 한 것도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관광객들의 수가 크게 줄어들자, 관광객들을 위한 단기 임대 주택들이 장기 임대 주택으로 변환되면서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다.
그러나 CMHC는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 임대 렌트 공실율이 높아지면 수요자들의 입주율이 증가될 것으로 보통 예상되지만, 저소득층 주민들은 여전히 가격대가 높은 임대 주택으로 들어가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정부, 건설사 숨통 트였다…사전 건축비 납부 마감 연장 new
건축비 25% 기한 내 지불, 나머지 75% 4년 후 주택건설협회 “이번 정부 조치 건설사에 희소식” BC주정부는 주 내 건설업 부흥을 위해 건설사들을 상대로 신규 건물 건축과 관련된 사전...
대형 부동산 개발사 웨스그룹 직원 해고…‘건설업 침체 신호’
BC주 부동산 시장이 침체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BC주 주요 개발사 중 하나가 직원을 해고할 수밖에 없다고 발표했다. 인력 감축을 발표한 유명 빅 개발사, 웨스그룹 Wesgroup Properties은 현재 상황을 ‘공급 비용 위기’ 라면서 비용 상승, 콘도 판매 정체와 경제적 불확실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앤모어 뉴 빌리지 개발 사업 중단…사업주, 개발계획 철회
개발업체 아이코나 프로퍼티스(Icona Properties)가 제출한 메트로 밴쿠버 지역 앤모어(Anmore)의 인구를 세 배로 늘릴 대규모 주택 개발 계획이 철회됐다. ‘앤모어 사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