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젊은층들의 실업률이 증가된 것이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메트로 밴쿠버지역의 지난 해 주택 임대 공실율이 공급량 증가 및 팬데믹으로 인한 수요량 저하로 그 전년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 가 밝혔다. 지난해 주택 임대 공실율은 2.6%로, 2019년도의 1.1%에 비해 증가됐다.
지난해 임대 공실율은 2.6%
2019년도 1.1%에 비해 증가
젊은층 실업률 증가, 국경 폐쇄로
외국인 입국 줄어…
외국 유학생 수 급감도 원인
밴쿠버와 써리에서 그 전 해의 수요 상승으로 인해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게 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랭리나 화이트락 등 도심 외곽 지역의 주택 임대 공실율은 오히려 줄었다.
캐나다 주택모기지협회(CMHC)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젊은층들의 실업률이 증가된 것이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팬데믹으로 국경이 폐쇄되면서 외국인들의 입국이 줄어들고, 외국 유학생들 수 또한 급감되고 있는 것이 그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CMHC의 한 보고 자료에 의하면, UBC에서 외국인 학생 전용으로 건설한 임대 아파트들의 공실율이 지난 해 13%로, 2019년도의 0.4%에 비해 크게 증가됐다. 또한 정부가 빈 집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해당 주택들을 장기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게 한 것도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에 한 몫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관광객들의 수가 크게 줄어들자, 관광객들을 위한 단기 임대 주택들이 장기 임대 주택으로 변환되면서 주택 임대 공실율 증가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다.
그러나 CMHC는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 임대 렌트 공실율이 높아지면 수요자들의 입주율이 증가될 것으로 보통 예상되지만, 저소득층 주민들은 여전히 가격대가 높은 임대 주택으로 들어가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컨더리 가옥 건축 주정부 지원 프로그램 취소
지난 10월, BC주 총선에서 신민당NDP은 주택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주택 내 부속 가옥secondary suit을 추가로 건축할 경우 주정부가 지원하겠다고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최근...
[2월 메트로 밴쿠버 주택 시장] 올 봄 시장 매물 넘친다
“풍부한 신규 매물에 구입자 선택 폭 넓어” 매물 부동산 1만2,744채, 기준가 116만 달러 1월에 작년 대비 46% 증가했던 신규 매물이 2월에는 보다 완만한 속도로 증가하면서...
[2월 프레이저 밸리 부동산 시장] 4개월 만에 첫 거래 증가
구매자들이 더 많은 선택지와 가격 약세를 활용하면서 프레이저 밸리의 주택 판매가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 재고 축적, 가격약세..기준가 96만2500달러 총 활성 매물 재고 8,070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