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8일 ThursdayContact Us

평생 한 번 받는 교정치료, 최적의 시기에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04-16 13:16:13

치아관리 십계명 7

치아가 고르지 못한 경우, 일반적으로 평생 한 번 받는 교정치료는 최적의 시기에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황별로 최적의 교정치료 시기가 언제인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최적의 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치열만 고르지 못한 일반적인 경우

특별한 골격 이상 없이 치열만 고르지 못한 경우, 일반적으로 12세 전후가 교정치료를 시작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입니다.

  • 여자아이나 영구치가 빨리 나는 경우: 10~12세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남자아이나 영구치가 천천히 나는 경우: 12~13세 정도에 시작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 시기가 최적의 시기인 이유는 성장기 동안 남아 있는 성장을 교정치료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자라는 시기의 공간적 여유를 이용해 교정치료를 보다 효율적이고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성장기 특성상 부작용이 최소화되고, 치료 속도도 빠릅니다.

  1. 골격성 부정교합이나 특별한 문제가 있는 경우

단순한 치열 문제를 넘어 턱뼈 성장에 문제가 있는 골격성 부정교합, 턱뼈가 좁은 경우, 과개교합 등은 본격적인 교정 전에 1차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반대교합(아랫니가 윗니를 덮는 경우), 교차교합, 가위교합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교합 문제나 **매복치(치아가 뼈 속에 갇혀 있는 경우)**는 발견 즉시 또는 본 교정 전에 별도의 치료를 먼저 진행한 후 본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소아/청소년기를 놓친 경우(성인교정)

교정치료의 최적기인 소아·청소년기를 놓친 경우라도 성인교정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 20~30대 성인교정: 성장이 완료된 시기이므로 성장 활용은 어렵지만, 젊을수록 회복력이 좋고 잇몸 상태도 양호해 빠른 치료가 유리합니다.
  • 40~60대 중장년층 교정: 교정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잇몸이 튼튼하다면 최근 교정기술 발전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치아만 교정할 수 있어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과도한 목표보다는 필요한 최소한의 교정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

모든 치료는 적절한 시기에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 치료도 3,4기에 치료받는 것보다 1,2기에 조기 치료받는 것이 결과가 좋듯이, 교정치료도 마찬가지입니다. 자녀나 본인의 교정치료를 고민하고 있다면 가급적 빠르게 상담을 받아 최적의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글 밴쿠버 서울치과 강주성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