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시장은 현재 셀러가 유리한 시장이다. 매물 공급이 수요를 따라 가지 못하고 있어 주택수요자 사이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에 상승압력을 주고 있다” 고 콜 거버 협회장은 시장상황을 전했다.
2월의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시장은 메트로 밴쿠버 전역의 주택 수요자 간의 경쟁이 높아져 가격상승을 초래했다.
메트로 밴쿠버의 MLS거래를 관장하는 광역밴쿠버부동산협회(REBGV)가 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의 주택 거래량은 3,727건으로 2020년 동기간(2,150 건) 대비 73.3% 급등했고 올해 1월(2,389건) 대비 56% 증가했다. 지난 달의 거래량은 2월의 10년 평균 거래량보다 42.8% 수준이다.
수요자 간 경쟁 치열해지면서 가격상승 초래
매물 공급이 수요 따라 가지 못해
거래 73% 급등…전년대비 7% 가격 상승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시장은 현재 셀러가 유리한 시장이다. 매물 공급이 수요를 따라 가지 못하고 있어 주택수요자 사이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에 상승압력을 주고 있다” 고 콜 거버 협회장은 시장상황을 전했다. 그는 “지역과 주택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특히 타운하우스의 수요는 매물량을 훨씬 앞지르고 있다” 고 말했다.
모든 주택유형을 통합한 MLS 등록 신규매물은 5,048 건이었다. 지난해 2월 대비 26.1% 증가했고, 올해 1월 대비 12.7% 증가한 수치이다.
2월 말 기준 MLS 의 총 등록매물은 8,358건으로 지난해 2월 대비 9,1% 감소했고 올해 1월 대비 0,6% 증가했다. 지난달의 신규 매물량은 2월의 10년 평균치보다 21.2% 낮은 수준이다.
모든 주택유형을 통합한 매물 대비 거래의 비율은 44.6%였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41.8%, 타운하우스 61.8%, 아파트 41.7%였다.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이 비율이 일정기간 12% 이하를 유지하면 가격하락 압력이, 수 개월간 20% 이상을 유지하면 가격상승 압력이 작용한다고 본다.
“계속해서 초 저금리가 시장을 활발하게 움직이는 동력이 되고 있다. 첫 집 구매자 수요와 집을 늘려가는 수요자 숫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 거버 협회장은 덧붙였다.
모든 주택유형을 통합한 MLS® 주택가격지수 종합기준가격은 현재 1,084,000달러로 작년 동기간 대비 6.8% 상승했고 올해 1월 대비 2.6% 상승했다.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커뮤니티의 모든 주택유형의 가격이 가장 크게 상승했다. 예를 들어 MLS HPI®에 따르면 가격상승 폭이 가장 큰 지역은 보웬 아일랜드(34.4%)였다. 다음으로 션사인 코스트(32.7%), 웨스트 밴쿠버(16.1%), 메이플 릿지(14.8%), 래드너(13.7%) 순으로 컸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은 1,231건의 거래가 성사되어 지난해 2월 대비 79.7% 증가했다. 단독주택의 기준가격은 1,621,200달러고 지난해 2월 대비 13.7% 상승했고 올해 1월 대비 2.8% 상승했다. 아파트는 총 1,759건이 성사되어 작년2월 대비 65.8%% 증가했다. 아파트의 기준가격은 697,500달러로 작년 2월 대비 2.5% 상승했고 올해 1월 대비 2.5% 상승했다. 월간 상승폭은 1월의 0.6%보다 높아졌다.
타운 홈의 거래는 737건으로 작년2월 대비 82.4 % 증가했다. 타운 홈의 기준가격은 839,800달러로 작년 2월 대비 7.2% 상승했고 올해 1월 대비 2.9% 상승했다.
* REBGV 관할지역: 버나비, 코퀴틀람, 메이플릿지, 뉴 웨스트민스터, 노스 밴쿠버, 핏메도우, 포트 코퀴틀람, 포트 무디, 리치몬드, 사우스 델타, 스쿼미쉬, 썬사인 코스트,밴쿠버, 웨스트 밴쿠버, 휘슬러.
주정부, 건설사 숨통 트였다…사전 건축비 납부 마감 연장 new
건축비 25% 기한 내 지불, 나머지 75% 4년 후 주택건설협회 “이번 정부 조치 건설사에 희소식” BC주정부는 주 내 건설업 부흥을 위해 건설사들을 상대로 신규 건물 건축과 관련된 사전...
대형 부동산 개발사 웨스그룹 직원 해고…‘건설업 침체 신호’
BC주 부동산 시장이 침체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BC주 주요 개발사 중 하나가 직원을 해고할 수밖에 없다고 발표했다. 인력 감축을 발표한 유명 빅 개발사, 웨스그룹 Wesgroup Properties은 현재 상황을 ‘공급 비용 위기’ 라면서 비용 상승, 콘도 판매 정체와 경제적 불확실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앤모어 뉴 빌리지 개발 사업 중단…사업주, 개발계획 철회
개발업체 아이코나 프로퍼티스(Icona Properties)가 제출한 메트로 밴쿠버 지역 앤모어(Anmore)의 인구를 세 배로 늘릴 대규모 주택 개발 계획이 철회됐다. ‘앤모어 사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