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 밴쿠버의 주거 형태가 향후 수십 년 안에 크게 바뀔 전망이다. 지역 정부의 새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51년에는 주민의 55%가 콘도나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단독주택 거주자는 전체의 14%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단독주택 비중 14%로 감소 전망
현재(2024년 기준) 메트로 밴쿠버에서는 주민의 26%가 단독주택, 46%가 아파트에 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놀랍지 않다고 말한다. 지역과 주정부가 인구 증가에 따른 주거난을 해결하기 위해 고밀도 개발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2026년 인구 증가율을 0.9%로, 2030년에는 2.6%로 전망했다.
2024~2051년 사이의 평균 주택 증가율은 연 1.4%로, 지난해 예측치(1.5%)보다 다소 낮아졌다.
메트로 밴쿠버의 조너선 코트 부총괄(주거·도시계획 담당)은 “이 지역의 성장은 새로울 게 없다”며 “문제는 늘어나는 인구가 기존 인프라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봄 인프라 격차 보고서를 통해 교통·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확충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UBC의 톰 데이비도프 교수는 “주택이 집중되면 도로·하수도 비용은 줄겠지만, 써리처럼 인구 유입이 빠른 지역은 학교와 병원 등 공공서비스가 이미 포화 상태”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1년까지 메트로 밴쿠버에서 새로 생길 주택 4채 중 1채는 써리에 들어설 전망이다.
SFU 도시정책센터의 앤디 얀 소장은 “단독주택 감소는 최근의 일이 아니다”며
“1960~80년대 ‘밴쿠버 스페셜(Vancouver Special)’ 주택 개발은 이미 밀도를 높이기 위한 초기 시도였다”고 설명했다.
얀 소장은 “주택 문제는 단순히 건물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병원, 도로 등 다른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적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택 계획을 “기후 계획처럼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비유했다.
도시개발협회(UDI)의 릭 일리치 회장은 “인프라뿐 아니라 정부의 각종 규제가 건축비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며 “밴쿠버시의 ‘제로 탄소 건축’ 정책은 콘도 한 채당 최대 6만 달러의 추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이상적인 ‘주거 환경’만 고집할 게 아니라, 보다 현실적인 ‘보급형 주택’ 건축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리치 회장은 “메트로 밴쿠버에서는 아파트 중심의 고밀도 주거가 불가피하지만, 프레이저 밸리 등 외곽 지역에서는 여전히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사람들은 여전히 ‘형태’보다 ‘위치’를 기준으로 주거를 선택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