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캐나다 예정대로 4일부터 관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4일부터 (예정대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관세율에 대해선 “정확히 얼마일지는 대통령과 그의 팀이 협상할 것”이라고 했다. 러트닉 장관은 2일 언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멕시코, 캐나다에 대해 어떻게 할지 생각하고 있으며, 그 상황은...
신용카드 교환수수료 최종합의…평균 0.95% 인하
연방정부는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해 시작된 신용카드 거래 수수료 인하와 관련해 비자와 마스터카드 양사와 최종조율에 합의했다고...
기준금리 5%p로 다시 동결
캐나다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5%p로 다시 동결했다. 6일 기준금리 발표는 올해 마지막 발표로 동결이 예상됐었다. 경제...
국채 눈덩이처럼 불어…올해 적자 400억 달러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연방 재무장관이 21일 국내 경제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재무부의 경제 발표문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국채를...
로저스 중앙은행 부총재, “장기 고금리 시대 대비해야” 경고
캐롤린 로저스 캐나다은행 부총재는 지난 15년간 캐나다인이 누렸던 초저금리의 시대가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이제...
5월 이후 ‘성장 스톱’…8월 GDP ‘0%’
캐나다 경제가 분명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6월에 축소한 GDP는 7월과 8월에도 변하지 않았고 사전수치는 9월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2분기 연속 축소 가능성 높아져...
주정부 천연 광물 자원 개발 박차…“희귀광물 자원 무한”
광물 자원 통한 국제 에너지 위기감 대처 구리, 몰리브덴 등 캐나다 최고 매장량 보유 니켈, 코발트 등 희귀 광물도 채굴사업 진행 세계적인 잠재수요와 맞물려...
기준금리 다시 동결 5%P…“인플레이션 더 오래 갈 것”
캐나다중앙은행은 25일 기준금리를 5%P로 동결했다. 7월에 이은 연속 동결이다. 최근의 GDP, 고용, 물가 등 각 지수들이 경제둔화로 향하는 가운데 이번 동결은...
우려되는 마이너스상각 모기지…상환기간 47년까지 늘어나
금융감독원OSFI은 곧 마이너스상각 모기지로 인해 야기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모기지 시장 지침을 시행할 예정이다. 마이너스상각 대출, $2천5백억 규모 최근...

‘인플레이션’…물가인상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연 초 사람들의 입에 오른 화재거리는 오미크론변이와 예방수칙이었다. 그러나 봄이되면서 모기지 부터 가스비, 월세까지 일제히 상승한 물가로 화제가 바뀌었다....

중소기업 아직 디지털 ‘초보’ 단계
팬데믹 동안 전자상거래가 크게 확대 되었지만 실제로 캐나다 중소기업의 대다수는 아직 웹사이트 운영 등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미비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1분기 캐나다 회사부도 34% 급증
1분기 국내 회사의 부도 건이 팬데믹 이전 수준에 가깝게 증가했고 지난해 1분기 대비 34%나 증가했다. 일부 경제전문가들은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경고했다....

4월 전국 집값 한달 새 6%↓, 2개월 연속 하락
대출 금리의 가파른 상승이 구매력과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지난달 전국의 주택 거래와 가격이 모두 하락했다. 전국 멀티리스팅서비스(MLS) 거래를 주관하는...

‘현금 종말론’ 맞지 않았다
팬데믹이 현금의 종말을 가져올지 모른다는 의심은 맞지 않았다. 오히려 저축수단으로의 현금에 대한 수요는 그 반대방향으로 향했고 경화에 대한 수요는 60년 만에...

“모기지 금리 5% 넘었다”…미연준 ‘빅스텝’의 파급력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2년 만에 단행한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으로 미국인의 재정적 삶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됐다....

에어캐나다 1일 승객 10만명 넘겨2020년 3월 이후 처음
지난 15일 에어캐나다(AC)의 1일 승객이 2020년 3월 코비드-19 팬데믹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10만명을 넘으면서 여행객 수요가 회복되고...

“중앙은행의 인위적 장기 저금리 정책의 대가를 치르고 있다”
지난달 미국은 40년만의 최고치인 8.5% 인플레이션을 기록했다. 소비자들도 식품에서 주유까지 일제히 급등하는 물가를 체감하고 있다. 30년만의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