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택시장은 적은 재고량과 높은 수요로 인해 최소 올해 연말까지는 활황이 기대된다고 부동산업체 르맥스사는 전망했다. 그러나 올 연말 이후부터는 코로나 팬데믹 발 경제후퇴의 진정한 효과를 피해 갈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까지는 가격이 소폭 상승할 것이지만 내년부터는 코비드가 미친 경제타격의 민낯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라고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르맥스 부사장은 말했다.
이 보고서를 발표하기전 르맥스는 3분기와 4분기에 캐나다 주택가격은 4.6%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전 전망치 3.7%를 상향 조정한 바 있다.
한편 이 보고서는 캐네디언의 생활방식의 변화가 거래유형도 변화시키고 있으며, 약 32%가 도심에서 외곽 또는 교외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다고 했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는 직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기인한다면서 보고서가 조사한 대상자의 44%는 더 넓은 공간을 찾아서 외곽으로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몇달 간 거래량이 역대 최고치 가깝게 반등하고 있지만 시장에 대한 캐네디언의 자신감은 양분된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다.
조사대상자의 39%가 팬데믹 이전의 주택가격을 유지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믿음을 보였고 반대로 37%는 부정적 이었다. 보고서는 또 가을부터 가격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발표된 주요기관의 내년도 주택시장 전망은 하락이 주를 이룬다.
캐나다 내셔날 뱅크는 2020년부터 2021년 사이에 전국 주택가격이 9.8%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DBRS모닝스타는 같은 기간 15% 가격하락을 전망했고 캐나다 모기지 주택공사는 앞으로 일년간 9%~18% 하락을 예상했다.
“주택시장 전망은 다양하지만 현재 전국적으로 상당한 수요가 쌓여있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알렉산더 부사장은 언급했다. “만약 3분기와 4분기에 재고량이 증가한다면 이 수요가 재고의 상당부분을 흡수할 것이며 이는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지난 수 년간 주택가격을 상승시킨 주 원인 중 하나가 재고량 부족이라고 덧붙였다. 또 현재까지 전국적인 재고량 부족현상을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진정한 전략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메트로 밴쿠버 ‘빈 콘도’ 급증…“팔리지도, 살 사람도 없다”
메트로 밴쿠버의 신규 콘도 시장에 ‘빈집’이 쌓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떠났고, 실수요자들도 높은 가격과 좁은 평형에 등을 돌렸다. 각종 인센티브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사태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평균 임대료, 9월 기준 2,123달러…12개월 연속 하락
캐나다의 평균 임대료가 9월 기준 2,123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2개월 연속 하락세로, 전국적인 임대료 조정 국면이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밥 레니 “BC 부동산 산업, 구조적 위기…전담 리더 필요”
‘콘도 킹(Condo King)’으로 불리는 밴쿠버 부동산 개발업자 밥 레니(Bob Rennie)가 BC주 개발 산업의 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부동산 총괄책임자(Real Estate Cz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