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임차인들이 한숨 돌리고 있다. RBC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주요 도시 대부분에서 임대료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밴쿠버 월 270달러로 하락폭 가장 커
RBC 은행 경제학자 레이철 바탈리아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40개 주요 도시 중 절반 이상에서 전년 동기 대비 임대료가 하락했다.
2베드룸 기준 임대료 하락폭이 가장 큰 도시는 밴쿠버로 월 270달러가 떨어졌다. 이어 켈로나(-230달러), 캘거리(-170달러), 토론토(-160달러), 그리고 핼리팩스(-150달러) 순이었다.
보고서는 “주거비 부담, 인구 증가세 둔화, 임대 주택 공급 확대가 최근 몇 분기 동안 임대 시장 균형 회복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와 BC주는 연방정부의 이민 감축 정책에 특히 큰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방정부의 이민 수용 규모 축소가 온타리오주와 BC주의 임대 시장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민 감소가 주택 수요를 완화하는 한편, 임대 공급은 계속 늘어나면서 다른 지역에 비해 시장이 한층 부드러운 상태” 라고 설명했다.
학생 밀집 지역에서는 임대료 하락폭이 컸다. 예를 들어 온타리오주의 키치너-케임브리지-워터루 지역은 월 130달러, 구엘프는 50달러가 하락했는데, 이는 연방정부 규제로 인한 유학생 감소와 시기가 겹친다.
시장 냉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 캐나다 무역 전쟁 이전부터 시작됐지만, 보고서는 무역 전쟁 압박이 하락세를 심화 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역에 민감한 산업에서 노동시장 약화 조짐이 뚜렷 해지고 있으며, 이것이 임대료 하락 압력을 지속시키는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온타리오 제조업 중심지에서도 임대료가 떨어졌다. 해밀턴은 40달러, 피터버러는 30달러, 오샤와는 20달러가 각각 하락했다. 디트로이트와 미 국경을 맞대고 있는 윈저는 임대료 변동이 거의 없었다.
다만, 최근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임대료는 팬데믹 이전 수준에 비해 여전히 높은 상태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캐나다 전역에서 임대료가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노동시장 약세가 임금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고, 더 엄격한 이민 목표가 인구 증가를 늦추며 새로운 가구 형성을 제한할 것” 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