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밖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면서, BC주정부가 현지 영화 산업을 향해 “지금은 당황할 때가 아니다” 라며 진화에 나섰다.
BC 영화산업 긴장…“상황 모르는 소리”
트럼프 ‘해외 영화 관세’ 다시 거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글을 올려, 해외 제작 영화를 대상으로 한 전면적인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행 시기나 방식은 밝히지 않았다.
BC주 노동부 라비 칼론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는 알 수 없다” 며, “지금은 불확실성과 과장된 수사가 뒤섞인 상황으로, 지역 영화 산업 종사자들은 침착함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B.C.주는 캐나다 영화 제작의 중심지로, 해외 특히 할리우드 제작사들의 주요 촬영지로 자리 잡고 있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현실화될 경우, 국경을 넘어 진행되는 공동 제작과 배급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유사한 관세 위협이 이미 지난 5월에도 제기된 바 있기 때문에 향후 발표되는 그 구체적인 규모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캘론 장관은 “해외 영화 산업에 대한 미국 정부의 관세 증액 정책은 미국 내에서도 타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 국내의 영화 산업 활동들은 자국 내에서 뿐 아니라 해외 여러 나라들에서 생산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산업에도 악영향이 미쳐질 수 있다. 더구나 영화 제작 활동은 직접 만질 수 있는 상품이 아니라 아이디어가 집약된 서비스 활동이라는 점이 기존 관세 정책 대상과는 다른 차원이다.
또한 BC주의 대부분의 영화 및 TV 관련 방송들은 미국 업체 소유로 돼 있으며, 이들 중 많은 자료나 작품들이 다시 미국으로 들어가고 있다. 미국 업체 촬영물들이 BC주에서 후속 작업을 거쳐 다시 미국으로 유입된다.
스크린Screen BC 및 마티니 필름 스튜디오의 대표인 젬마 마티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련 관세 부과 발언은 따라서 해당 산업을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지적한다. 그는 “이미 지난 5월에 같은 언급이 있었고, 최근 3년 전부터 고전을 면치 못 하고 있는 영화 제작 산업을 미국 행정부가 잘 모르고 있다”고 이메일을 통해 전했다.
캘론 장관도 영화 산업은 이미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을 거치면서 관련 노조들의 파업과 세계 관련업계 위축 등으로 이미 된서리를 맞고 있다고 하면서 미국 행정부가 해당 분야에 대한 적극 지원이 아닌 오히려 관세로 위협을 하는 것에 못마땅한 반응을 보였다.
마티니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개인적인 언급으로 이해되고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