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TuesdayContact Us

캐나다 소득격차 ‘사상 최고 수준’

2025-10-21 14:33:04

2025년 2분기 기준, 캐나다 전체 순자산의 64.8%가 상위 20% 가구에 집중돼 있으며, 이들의 평균 자산은 가구당 약 340만 달러였다.

캐나다의 소득 격차가 여전히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이 새로 발표한 보고서에서 밝혔다. 이번 통계는 상위 부유층과 생활비 부담에 시달리는 중·저소득층, 특히 젊은 세대 가구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젊은 세대 부동산 가치 하락에 타격”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 전체 부의 대부분이 상위 계층에 집중돼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은 팬데믹 이후에도 완화되지 않고 오히려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상위 20% 가구가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위 40% 가구는 여전히 부채 비율이 높아 경제적 불안정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번 발표는 실업률 상승과 주거비·생계비 부담 증가 속에서 나왔다. 여기에 미국과의 무역 마찰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겹치며, 기업과 가계 모두 높은 물가와 비용 압박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생산성과 고용이 정체된 가운데 부의 집중이 지속된다면 사회적 불만과 정치적 분열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2분기 소득격차 48.4%…“역대 최고 수준 지속”

캐나다통계청은 2025년 2분기(4~6월) 소득 격차가 48.4%로 2024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경기 둔화로 가계 소득과 순저축이 전반적으로 타격을 받으면서, 소득 격차가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고 지적했다. 또 “금융시장의 강세로 부유층의 자산은 더 늘어난 반면,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젊은 세대와 저 자산층의 평균 자산은 줄었다” 고 분석했다.

 

상위 40%와 하위 40%의 간극 확대

소득 격차는 가처분소득(세금과 의무적 공제 후 실제로 쓸 수 있는 소득) 의 분포 차이를 의미한다. 캐나다통계청은 “상위 40% 가구의 가처분소득과 하위 40% 가구 간의 격차가 여전히 매우 크다” 고 밝혔다.

2025년 2분기 가처분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지만, 2024년(전년 대비 5.9% 증가)에 비해 상승 폭이 둔화됐다.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측정되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이러한 소득 증가분의 ‘실질 가치’ 는 오히려 줄어든 셈이다.

통계청은 소득 증가세 둔화의 배경으로 경기 냉각과 고용시장 약세를 꼽았다. 보고서는 “고용 증가세 둔화와 경제활동 위축이 겹치며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가 둔화됐다” 고 밝혔다.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용률은 2023년 초부터 하락세를 보여 왔으며, 새로 늘어난 일자리 대부분이 파트타임 근로였다.

 

상위층 자산 비중 64.8%…하위층 3.3% 불과

상위 20% 가구와 하위 40% 가구 간의 부의 격차는 61.5%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더 확대됐다. 2025년 2분기 기준, 캐나다 전체 순자산의 64.8%가 상위 20% 가구에 집중돼 있으며, 이들의 평균 자산은 가구당 약 340만 달러였다.

반면, 가장 하위층은 캐나다 전체 부의 3.3%만을 보유, 평균 자산은 8만6,900달러에 불과했다.

전체적으로 캐나다 가계의 순자산은 전년보다 4.5% 증가했지만, 그 대부분은 상위층에 집중됐다. 증가 요인은 주로 주식 등 금융자산(9.1%↑) 이었고, 부동산 가치는 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5세 미만의 젊은 세대는 2025년 2분기에 자산이 2.1% 늘었지만, 이는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낮은 증가율이었다. 이는 최근 여러 보고서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젊은 세대의 실업률 상승과 생활비 부담 심화와 맞물려 있다. 젊은 세대 가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통계청은 이를 “주택구매를 미루는 현상” 으로 해석했다.

보고서는 “젊은 세대 가구가 주택시장 진입을 포기하거나 연기하는 이유는 주거비 부담이 크기 때문” 이라며, “일부는 가족 등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이 가능할 때 생활비와 부채 상환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