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치솟는 월세…평균 1,888달러

고물가에 치솟는 월세…평균 1,888달러

물가인상의 영향을 받는 것은 세입자만이 아니다. 이자와 물가상승으로 임대주들도 모기지 부담과 개조비, 관리비와 같은 서비스 비용의 부담이 증가했고, 결국 상승한 비용을 임차인에게 전가할 것으로 보인다. 세입자들은 치솟는 생활비에 월세(렌트비) 걱정까지 늘었다. 임대정보 웹사이트(rentals.ca)에 따르면 6월 전국 평균 월세가 또 상승했고 물가상승과 연동되는 월세 인상 상한선 때문에 세입자들은 내년 인상폭을 걱정한다. 6월 밴쿠버 1베드룸 $2,377 버나비 24% 상승...
포스트팬데믹 수요 이동 시 외곽 주택값 취약

포스트팬데믹 수요 이동 시 외곽 주택값 취약

금리 인상으로 주택시장이 둔화되면서 외곽도시는 대도시 보다 더 높은 조정의 가능성이 있다고 캐나다중앙은행이 경고했다. 팬데믹 기간에 치솟은 외곽도시 집값은 포스트팬데믹 시대에 역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도심, 외곽 가격차 33%→10%로 하락 팬데믹 동안 다운타운과 외곽지역의 주택가격의 차이는 크게 좁혀졌다. 그러나 금리 인상으로 주택시장이 둔화되면서 외곽도시는 대도시 보다 더 높은 조정의 가능성이 있다고 캐나다중앙은행이 경고했다. 이는 중은이 전국 15개 도시의 팬데믹...
주정부 렌트비 인상 제한 또 고려…임대주 ‘불만’

주정부 렌트비 인상 제한 또 고려…임대주 ‘불만’

데이비드 에비 BC재무부 장관은 17일 주민들의 물가인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정책 중 하나로 월세인상 상한선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많은 세입자들이 최근 물가 급등으로 내년 월세 인상 상한선이 큰 폭 상승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 가운데 데이비드 에비 BC재무부 장관은 17일 주민들의 물가인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정책 중 하나로 월세인상 상한선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팬데믹 동안 동결 불이익 감수 정부 임대료 시장에 개입 말아야...
“5년 후 모기지 월상환액 최대 30% 증가”

“5년 후 모기지 월상환액 최대 30% 증가”

캐나다중앙은행은 5가구 중 1가구가 소득대비 부채가 350% 이상인 ‘매우 높은 부채 상태’로 분류된다. 팬데믹 이전에 이 수치는 6가구 중 1가구, 1999년에는 14가구 중 1가구였다. 캐나다중앙은행(이하:중은)은 9일 발표한 금융체계평가서에서 급등한 주택가격 및 주택담보 대출이 국내경제의 주요 리스크라고 밝혔다. 특히 팬데믹동안 주택을 구매한 사람들은 소폭의 금리인상에도 취약하다고 했다. 캐나다중앙은행 경고 평균 420 달러 증가 하지만 금융체계는 튼튼하며 팬데믹을 잘...
5월 전국 주택가격 4% 하락

5월 전국 주택가격 4% 하락

토론토와 밴쿠버를 제외한 5월의 평균 거래가격은 58만8천500달러였다. 전국 거래가격을 낮춘 주요지역은 온타리오주로 대다수 지역이 상당한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멀티리스팅서비스(MLS)거래를 주관하는 캐나다부동산협회(CREA)에 따르면 5월 전국 주택시장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평균 거래가격은 71만1천 달러로 3개월전 보다 10만 달러 이상 낮아졌다. 거래량 프리팬데믹 수준 복귀 5월은 전형적으로 가장 거래가 많은 달 이지만 거래는 1년전보다 20% 감소했다....
메트로밴쿠버, 산업용 부동산 부족…‘임대’ 힘들어

메트로밴쿠버, 산업용 부동산 부족…‘임대’ 힘들어

1분기 메트로밴쿠버 산업용부동산의 공실률은 0.5%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토론토는 0.9%, 몬트리올 1.3%, 캘거리 3.3%, 에드몬튼 4.7%였다. 전국적으로 팬데믹 이후 메트로밴쿠버의 산업용 부지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상승하는 임대료는 물론 시장에서 쫓겨나지 않으려면 상황을 인지하고 사전계획을 세워야 할 상황에 놓였다. 공실률 0.5%에 불과 토론토 0.9%, 몬트리올 1.3%, 캘거리 3.3% 밴쿠버 상업용 부동산중개사 애비슨영의 가스 화이트...